-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2-1. 고전시대 역사적 배경, 음악적 특징, 성악음악음악 이야기 2022. 10. 28. 12:38728x90728x90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2-1. 고전시대 역사적 배경, 음악적 특징, 성악음악
지난 시간까지 바로크의 음악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고전 시대의 음악을 살펴보겠습니다.
1. 역사적 배경
고전 시대의 역사
계몽주의와 인본주의의 물결이 정치, 문화,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치는 시기로 시민계급의 사람들도 예술 분야를 향유할 수 있게 됩니다. 빈 고전파 3인방인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이 활동한 시기의 음악을 말하며 객관성과 균형미를 추구하는 음악이 지향되었습니다. 대위법적인 음악보다는 호모포니(homophony)적인 음악을 선호하였으며 성악 음악보다 기악음악이 더 인기가 높은 시기입니다.
고전 시대 음악의 유래
모차르트나 하이든의 성숙된 고전음악 양식이 자리잡기 전에 이들 음악의 토양이 되었던 전고전주의 음악(pre-classic)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2. 음악적 특징
음악 양식
갈랑양식(galant)은 로코코(rococo)와 비슷한데, 가볍고 우아하며 재치가 있는 양식으로 정의됩니다. 바로크의 대위법적인 복잡한 구조 대신 호모포니의 가벼운 구조로서 짧은 악구로 된 단순한 선율, 복잡하지 않은 리듬과 화성이 특징입니다. 음악 기법은 전과음, 휴지부, 롬바르드 리듬, 약박에서의 종지, 상세한 악상의 대비 등이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가장 낮은음-가장 높은음-중간 음-높은음' 순서로 진행되는 분산 화음 형태를 '알베르티 베이스'라고 하는데 D.Alberti의 작품에 자주 나타났기에 그의 이름을 따서 이름 붙여진 기법이며, 모차르트의 작품에서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감정표현양식(empfindsamer stil)은 갈랑양식과 대비되는 북독일에서 유행한 양식으로 한 작품 내에서 악상의 적절한 변화로 표현이나 감정의 계속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이념에서 출발하였습니다. 바흐의 아들 중 한 명인 C.P.E.Bach의 작품에 많이 등장하며 갑작스러운 전조나 특이한 선율 진행, 다이내믹의 극대화, 긴장된 휴지부 등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질풍노도양식(strum und drang)은 우울하고 침울한 성격을 지닌 음악 양식이라 볼 수 있습니다.음악 형식
소나타 형식(sonata form)이 대표적으로 대다수의 고전파 작곡가들이 즐겨 사용한 음악형식입니다. 알레그로(allegro) 빠르기로 된 제 1악장을 가리키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를 가진 1악장을 포함한 다악장 형식의 작품을 소나타(sonata)라고 합니다. 소나타 형식은 단순한 2부분 형식 구조로 되어있는데, 첫 부분은 으뜸조에서 시작해서 딸림조나 다른 관계조로 전조 된 후 종지로 이어지며, 두 번째 부분은 바뀐 조로 시작해서 한동안 진행되다가 원조로 전조 해서 으뜸음으로 끝나는 부분입니다. 두 번째 부분의 끝에서 첫 부분으로 돌아오는 2부분 형식을 순환 2부분 형식이라고 부릅니다.
3. 고전 성악음악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오페라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움직임인 '오페라 개혁운동'이 일어나면서 고전시대 성악 음악은 계몽주의적이고 사실주의적인 내용을 추구하는 오페라가 발전되었습니다. 당시에 비극적이거나 희극적인 요소가 혼합되는 것을 배척하였으나, 오페라 개혁자들에 의해서 이 두 요소를 혼합한 오페라가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정가극(opera seria)이 주를 이루던 바로크 시대에 비해 전고전 시대에는 희극 오페라 창작이 늘어났고, 다카포 아리아는 이전의 단순한 2부분 형식에서 소나타의 형식 구조로 작곡하였습니다. 바로크의 아리아 위주 음악 구성에서 아리아의 수를 줄이고 극의 내용을 수정, 보강해서 변화시켰습니다. 이러한 오페라 개혁운동의 선구자는 대본가인 제노에 의해서였으며, 그는 아리아의 수를 줄이고 대본의 내용도 복잡하고 허구적인 내용에서 탈피하여 계몽주의가 추구하는 단순하고 사실적인 내용으로 변화시킨 인물입니다. 그를 계승한 대본가 메타스타지오는 아리아 위주인 바로크 나폴리 작곡가들과 달리 오페라의 종합성을 강조한 인물입니다.
1720년대 말에 이르러 작곡가들은 바로크 오페라의 과도한 음악적 장식과 허구적인 대본에서 탈피하여 갈랑 양식의 대중이 즐길 수 있는 가벼운 오페라를 작곡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표 작곡가로는 빈치, 페르골레지, 하세 등이 있으며, 이들에 의해 오랜 세월 동안 이전의 이탈리아 오페라가 갖고 있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데 일조하였고 오페라 개혁운동의 초석이 되었습니다. 페르골레지는 희극적인 막간극(intermezzo)을 정가극에 삽입하는 경우를 자주 보였는데, 예를 들어 정가극 <자랑스러운 죄인>에 삽입된 막간극인 <마님이 된 하녀>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막간극이 독립적인 오페라는 아니지만 때때로 정가극보다 인기가 높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1750년대 이르러 실질적인 오페라 개혁운동이 일어났고 프랑스 오페라 영향을 받은 이탈리아 작곡가인 욤메리와 트라에타, 프랑스와 이탈리아 오페라의 양식을 조합한 글룩에 의해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그중 글룩은 오페라의 음악을 대본의 줄거리 설명의 봉사적 기능으로 한정시키고, 성악가들은 과장된 장식이나 기교를 금하여 다카포 아리아는 수정되어야 한다는 것, 관현악을 레치타티브와 아리아에 모두 효과적으로 사용해 음악적 구분을 줄여야 한다는 것, 오페라 서곡은 필수적이어야 하며 극의 내용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이탈리아 오페라
전고전시대는 바로크 이탈리아 오페라를 계승하였지만 개혁운동으로 인해 음악과 대본에 변화가 나타났고, 무엇보다 계몽주의 영향으로 희극 오페라 창작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각 나라마다 아래와 같이 명칭이 다양하게 발전하였습니다.
인테르메초(Intermezzo)
초기 르네상스 시대 때부터 있었고, 당시 연극의 막 사이에 삽입되는 오락물로서의 기능을 하였습니다. 고전시대에 들어와 정가극의 막 사이에서 노래되는 희극적인 막간극으로서 형식을 갖추어 자리 잡았고, 18세기 후반엔 나폴리를 중심으로 인기를 누리며 독자적인 음악형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페르골레지 <마님이 된 하녀>가 있습니다.
오페라 부파(Opera Buffa)
인테르메초와 동시에 18세기에 발달했으나, 처음부터 독립적인 희극 오페라로서 목적을 두고 만들어졌으며 연주시간도 긴 오페라입니다. 희극적인 내용이지만 진지한 장면과 함께 어울리고, 진지한 배경엔 표준어의 이태리어를 사용하지만, 희극적인 배역은 사투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대표 작곡가로는 레오와 빈치, 갈루피 등이 있습니다.
드라마 지오코조(Drama Giocoso)
전통적인 오페라 성격 면에서 차이가 있는 희극 오페라로서 줄거리는 기본적으로 희극적이지만 감상적이거나 비애적인, 때로는 비극적인 요소도 담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작으로 피치니 <착한 소녀>, 파이지엘로 <세빌리아 이발사>, 모차르트 <돈 조반니> 등이 있습니다.
프랑스 오페라
오페라 코미크(Opera Comique)
기원은 중세 후기에 '어릿광대극'이라 하는 일종의 오락물에서 유래되어 17세기에도 계속 유행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어릿광대극은 음란한 농담이 섞인 대화체를 사용하는 등 지나치게 통속적인 면을 보여 1670년 이후 금지되었는데 이로부터 약 30년이 지나서 이와 유사한 이탈리아 풍의 코메디 등이 다시 나오기 시작하였습니다. 1715년에 이러한 여흥 음악이 공식적으로 '오페라 코미크'로 명명되어 춤과 음악, 관현악이 혼합된 음악극으로 형성하게 됩니다. 대표작으로 그레트리 <거짓 외모, 혹은 시기하는 여인>, <사자왕 리처드> 등이 있습니다.
영국 오페라
발라드 오페라(Ballad Opera)
처음부터 순수하게 독립적인 오페라는 아니었고, 단조로운 대화체와 전통적이거나 유행하는 선율로 희극적 내용을 극화한 연극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대표작으로 존 게이의 대본에 페푸쉬가 작곡한 <거지 오페라>가 있습니다. 발라드 오페라는 훗날 오페레타와 함께 뮤지컬의 기원이 됩니다.
독일 오페라
징슈필(Singspiel)
징슈필의 기원은 중세의 신비극과 순회하는 연주단에 의해 공연되는 음악이 있는 모든 종류의 연극이 포함됩니다. 특징으로는 희극적인 요소가 많지만 때로는 낭만적인 진지함도 있고 대화체는 지방어를 사용했으며, 음악은 연극의 부속물이었고 극이 절정에 달했을 때 부각되었다는 점이 있습니다. 대표작으로 모차르트 <마술피리>가 이에 해당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고전 시대의 기악음악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2-2. 고전시대 기악음악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2-2. 고전시대 기악음악 지난 시간에는 고전시대 음악의 역사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 성악 음악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고전시대 기악음악을 살펴보겠습니
gracetulip.tistory.com
728x90728x90'음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2-3. 고전파 작곡가와 음악 (0) 2022.10.28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2-2. 고전시대 기악음악 (0) 2022.10.28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1-3. 바로크 작곡가와 음악 (0) 2022.10.27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1-2. 바로크 기악음악, 작곡가와 음악 (0) 2022.10.27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1-1. 바로크 역사적 배경, 음악적 특징, 성악음악 (0) 202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