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3-3. 낭만시대 기악음악, 작곡가와 음악음악 이야기 2022. 11. 1. 09:06728x90728x90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3-3. 낭만시대 기악음악, 작곡가와 음악
지난 시간에는 낭만시대 오페라 음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낭만 시대의 기악 음악과 대표 작곡가를 살펴보겠습니다.
4. 낭만 기악 음악
표제적 관현악
낭만시대 작곡가들은 음악의 줄거리를 어떤 방식으로든 묘사하여 음악 속에서 문학적인 형상을 찾으려고 했는데, 이러한 음악을 '표제음악'이라 부르며 낭만파 음악을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표제 음악을 살펴보자면, 표제 교향곡(program symphony)으로 베토벤 <전원>,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음악의 참모습은 표제적인 요소에서 찾아야 한다.'라고 주장한 작곡가 리스트에 의해서 관현악을 위한 단악장의 표제음악인 교향시(Symphonic Poem)가 창안되었습니다. 대표작으로 리스트 <전주곡>, 생상 <죽음의 무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틸 오일렌 슈피겔의 유쾌한 장난>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시점에서 분위기를 만들어주거나 상황을 묘사하는 표제적 음악인 부수음악(Incidental Music)이 발달했고, 이러한 부수음악을 여러 곡 모아서 종래의 교향곡 형식에 따르지 않고 몇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표제적 교향곡 형태로 교향모음곡(Orchestral Suit)도 생겨났습니다. 교향모음곡의 대표작으로 멘델스존 <한여름밤의 꿈>, 그리그 <페르귄트>, 림스키 코르사코프 <세헤라자데>,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등이 있습니다. 오페라와 전혀 관련 없이 연주용을 위한 서곡(Concert Overture)도 작곡되었는데, 이는 '빠름-느림-빠름'의 3 부분 형식으로 되어있고, 작품 예로는 브람스 <대학축전 서곡>, 차이코프스키 <1812 서곡> 등이 있습니다.
피아노 음악
낭만시대에 피아노를 위한 음악을 만든 작곡가는 많은데, 대표 작곡가 몇 인의 음악을 살펴보겠습니다.
슈베르트의 음악은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영향이 나타나고, 구조는 고전 형식에 기초하고 있으나 서정적인 선율과 색채감 넘치는 화성 등 낭만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그의 피아노 음악은 크게 소나타, 2중주, 성격 소품 등으로 나뉠 수 있는데, 성격 소품(character piece)은 작곡가 자신의 의향에 맞는 자유로운 형식의 짧고 개성적인 작품형식으로 표제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합니다. 대표작으로 <방랑자 판타지 c단조>와 <악흥의 한 때>등이 있습니다.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피아노 음악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피아노 양식을 연결시켜주는 다리의 역할을 한다 볼 수 있습니다.
멘델스존의 음악은 고전파 양식이나 바흐의 대위법 양식을 사용하기도 하고 분위기도 대체로 조용하거나 우아한데, 대표작은 <론도 카프리치오조>, <엄격변주곡>, <무언가집> 등이 있습니다.
슈만은 단순하고 가벼운 작품에서부터 연주용을 위한 기교적으로 어려운 작품에 이르는 다양한 구성을 보이는데, 성격소품들을 많이 작곡했습니다. 표제가 붙은 성격 소품으로 <아라베스크>, <꽃노래>, <어린이 정경>, <카니발> 등이 있습니다.
쇼팽은 존필드와 훔멜에게서 영향을 받았는데, 낭만주의적 작품과 고전 형식의 작품을 두루 작곡하였고, 조국인 폴란드의 민속적인 춤과 선율이 쇼팽 음악의 원천이 되었습니다. 음악적인 특징으로는 오른손의 선율과 왼손의 반주로 구성된 녹턴 스타일과 다양한 꾸밈음 사용, 폴란드 춤곡 리듬 영향을 받았으며, 불협화음과 비화성음의 사용, 템포 루바토 기법과 특이한 페달 사용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쇼팽은 피아노 악기가 갖는 장점을 살려 끊어지지 않는 선율과 풍부한 화성, 부드러운 음색 창출 등을 음악으로 만들어내어 피아노를 낭만주의 가장 대표적인 악기로 부각하는데 큰 공헌을 한 인물로 평가됩니다. 대표작으로 <마주르카>, <폴로네즈>, <에튀드>, <즉흥곡>, <왈츠>, <녹턴>, <발라드> 등이 있습니다.
리스트는 동시대 음악가인 쇼팽과 필드는 물론 이전시대의 바흐, 베토벤의 음악에서도 영향을 받았고 낭만주의 문학과 표제음악으로 대표되는 베를리오즈의 작품에서도 영향을 받아 표제음악 그 이상으로 작곡활동을 벌였습니다. 여러 관현악곡들을 피아노곡으로 편곡함으로써 피아노 위에서 크고 작은 관현악적 음향을 창출해서 피아노 위에 다양한 음악적 실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대표작으로 <헝가리 랩소디>, <초절기교 연습곡>, <순례의 해> 등이 있으며, 유일한 소나타인 <소나타 b단조>는 고전적인 전통 형식이지만 주제가 순환, 발전되는 교향시와 유시한 형태를 갖는 곡으로 주목할 만합니다.
브람스는 낭만시대 유행한 표제음악을 거부하고 절대음악을 고수하는 보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한 인물입니다. 대표작으로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20개의 성격 소품이 들어있는 <인테르메초> 등이 있습니다.
실내악
잘 알려진 곡으로 슈베르트의 <피아노 5중주 A장조>가 있는데, 가곡 <송어>의 선율을 변주하여 만든 곡입니다. 이 곡은 일반적인 피아노5중주의 구성인 피아노와 바이올린 2대, 비올라 1대, 첼로 1대의 조합이 아닌 피아노와 바이올린 1대, 비올라 1대, 첼로 1대, 베이스 1대의 이색적인 구성으로 만들어진 음악입니다.
관현악
낭만시대 관현악은 표제음악에 부응하는 교향곡적인 형식들로 작곡됐는데, 베토벤의 교향곡이 낭만시대 교향곡의 원형이자 모델이 되었습니다. 특히 베토벤의 3번, 5번, 6번, 9번 교향곡이 표제적 성격을 띠는 낭만파 음악을 예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슈베르트의 교향곡은 전부 10곡이지만 그 중 9번 곡이 분실되어 총 9개의 곡이 남아있는데, 그중 8번(미완성) 교향곡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멘델스존의 교향곡은 낭만주의의 서정성과 온화함, 문학에 바탕을 둔 표제성이 특징이지만, 기본적으로는 보수적 성향이 기초를 이룹니다. 모두 5개의 교향곡이 있는데 <스코틀랜드>, <이탈리아> 교향곡이 대표적이며, 그 지역적인, 민속적 특성을 반영하려는 시도는 보이지만 특별히 표제적 성격을 찾기는 어려워 베토벤의 표제 교향곡의 성격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밖에 교향모음곡 <한여름밤의 꿈>이 유명합니다.
슈만의 교향곡은 고전적 구조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낭만적 서정성도 보인다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모두 4개의 교향곡을 만들었습니다.
베를리오즈는 관현악에 표제음악을 창안한 선구자로서 하나의 음악극으로 가사 없는 연극의 내용을 그려내었고, 낭만주의 관현악 편성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대표 교향곡으로 <환상교향곡>이 있는데, 이것은 베를리오즈가 시도한 첫번째 표제 교향곡으로 각 악장마다 반복되는 주제로 줄거리의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고, 그 주제는 고정 동기(idee fixe)가 되어 그때그때마다의 상황을 그려준다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리스트는 교향시와 교향곡을 작곡했는데, 여기서 교향시는 교향곡적이지만 전통적인 악장구조가 아닌 단악장으로 되어있고, 모든 음악의 내용이 표제가 붙은 단악장에 함축되어 있는 작품들을 지칭합니다. 즉, 리스트는 작품의 표제가 갖고 있는 시적 내용을 전달하려고 교향시를 만들었습니다. 총 13곡의 교향시가 있는데 그중 <전주곡>, <햄릿>, <오르페우스>, <프로메테우스>, <마제파> 등이 유명합니다. 교향곡은 총 2편이 있는데 <파우스트>와 <단테>가 있습니다.
브람스는 낭만시대의 고전적 성향을 띄는 작품으로 총 4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는데, 표제음악을 거부하고 전통적인 4악장 구조를 보인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브루크너는 베토벤과 브람스를 잇는 낭만주의 시대의 보수적 작곡가라고 볼 수 있는데, 총 11개의 교향곡을 만들었습니다. 대부분 교향곡에서 종교적 색채가 보이는데 9번 교향곡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후기 작품에서 바그너 영향이 보이는데, 소리의 셈여림이나 색채 상의 대조가 매우 강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5. 대표 작곡가와 음악
낭만시대에 활동한 작곡가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무수히 많은데 일부 나라별로 잘 알려진 작곡가와 대표 작품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오스트리아의 '가곡의 왕'이라 불리는 슈베르트(1797-1828)의 대표작은 <마왕>, <미완성 교향곡>,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등이 있으며, '왈츠의 왕'이라 불리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1825-1899)의 대표작은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와 <박쥐> 등이 있습니다. 폴란드의 '피아노의 시인'이라 불리는 쇼팽(1810-1849)의 대표작은 <녹턴>, <마주르카>, <폴로네즈>, <왈츠> 등이 있습니다. 헝가리의 '피아노의 귀재'라 불리는 리스트(1811-1886)의 대표작은 <헝가리 랩소디>, <파우스트>, <피아노 협주곡> 등이 있습니다. 독일은 멘델스존(1809-1847)의 대표작은 <한여름밤의 꿈>, <이탈리아>, <핑갈의 동굴> 등이 있으며, 슈만(1810-1856)의 대표작은 <시인의 사랑>, <어린이 정경>, <두 사람의 척탄병> 등이 있고, 브람스(1833-1897)의 대표작은 <헝가리 무곡>, <대학축전 서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등이 있으며, 바그너(1813-1883)의 대표작은 <니벨룽의 반지>, <트리스탄과 이졸데>, <로엔그린> 등이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오페라의 왕'이라 불리는 베르디(1813-1901)의 대표작은 <아이다>, <라 트라비아타>, <리골레토>, <나부코> 등이 있습니다. 러시아의 '발레음악의 대가' 차이코프스키(1840-1893)의 대표작은 <교향곡 비창>, <호두까기 인형>, <백조의 호수> 등이 있습니다. 프랑스의 베를리오즈(1803-1869)의 대표작은 <환상교향곡>, <레퀴엠 미사> 등이 있으며, 비제(1838-1875)의 대표작은 <카르멘>, <진주잡이>, <아를의 여인> 등이 있고, 생상(1835-1921)의 대표작은 <동물의 사육제>, <죽음의 무도>, <삼손과 데릴라> 등이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후기 낭만음악을 살펴보겠습니다.
728x90728x90'음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4-2. 낭만 후기 음악 (0) 2022.11.03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4-1. 낭만 후기 음악 (0) 2022.11.02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3-2. 낭만시대 오페라 음악 (1) 2022.10.29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3-1. 낭만시대 역사적 배경, 음악적 특징, 예술가곡 (0) 2022.10.29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2-3. 고전파 작곡가와 음악 (0) 2022.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