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4-1. 낭만 후기 음악음악 이야기 2022. 11. 2. 09:50728x90728x90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4-1. 낭만 후기 음악
지난 시간에는 낭만 기악음악과 대표 작곡가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19세기 말 낭만 후기 음악을 살펴보겠습니다.
19세기 중엽까지 모든 음악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3국이 주도하였으나, 19세기 말 낭만 후기에 들어서면서 유럽 각국에서 개성 있고 독창적인 음악을 시도하였습니다.
1. 민족주의 음악(국민악파)
개요
작곡가 자신의 국가나 역사에 대한 민족적인 특성을 반영한 음악을 말하며 각 국가의 민속선율이나 춤의 리듬 등을 발굴, 채집하여 전통적인 예술 음악으로 만들어낸 음악입니다. 북유럽, 특히 러시아에서 시작되었으며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을 주도한 선구자로서 작곡가 글린카와 러시아 5인조가 있습니다.
작곡가와 음악
글린카의 오페라 <황제에게 바친 목숨>이 대표적이고, 이어서 러시아 5인조가 나타났는데 발라키레프와 무소르그스키, 림스키코르사코프, 보로딘, 큐이가 있습니다.
발라키레프는 글린카로부터 민속적 재료를 음악화시키는 방법을 배워 다른 5인조에게 전수한 인물입니다. 대표작으로 교향시 <러시아>, 환상곡 <이슬라메이> 등이 있습니다.
무소르그스키는 오페라 <보리스고두노프>,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 3대 연가곡 <탁아소>, <태양 없이>, <죽음의 노래와 춤> 등이 대표작이며 그의 가곡들은 다양한 분위기를 묘사하는 러시아 민족적 색채가 뛰어난 작품들로 19세기 최고의 성악곡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피아노 작품으로는 <전람회의 그림>이 잘 알려졌으며, 이는 프랑스 작곡가 라벨에 의해 관현악으로 편곡되어 더욱 유명해진 곡입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베를리오즈의 관현악법 이론서들을 연구했는데, 모든 악기의 주법이나 음역, 음색에 통달해있어서 동료들의 작품을 관현악곡으로 편곡하는 작업을 많이 한 인물입니다. 그래서 교향곡은 아니지만 교향곡이나 교향시와 같은 성격의 다악장 관현악곡을 작곡했는데, 이것을 '관현악적 모음곡'이라 부르며 <세헤라자데>가 대표적 작품입니다.
보로딘은 오페라 <이고르 공>으로 일련의 장면들을 이어놓은 서술적 회화집을 만들었고, 관현악곡 <중앙아시아에서>가 대표적 작품입니다.
러시아 외의 민족주의 음악가들도 많이 있었는데, 그중 체코에는 스메타나란 작곡가가 있으며 교향시 <나의 조국>, 오페라 <팔려간 신부> 등이 대표작입니다. 그리고 드보르작은 체코출신 작곡가이지만, 9개 교향곡 중 <신세계>와 현악 4중주 <아메리칸>은 미국으로 망명했을 당시 작곡한 곡으로, 미국적인 주제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르웨이에는 그리그 작곡가의 23곡의 부수음악이 대표적이며, 이 중 8곡을 발췌하여 만든 관현악 모음곡 <페르귄트>가 잘 알려집니다. 핀란드에는 시벨리우스가 있으며 교향시 <핀란디아>, 절대음악적인 7개의 교향곡이 유명합니다. 영국은 엘가가 있으며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 등이 유명합니다.
2. 후기 낭만주의 음악
개요
19세기 말 ~ 20세기 초의 음악을 가리키는 것으로, 아직 낭만주의 특성을 유지한 음악이며 독일이 주도하였고, 대표 작곡가로는 말러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에서 후기 낭만주의 음악은 리스트와 바그너의 급진적인 음악 양식이 성행한 시기를 기점으로 만들어진 음악을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바그너의 음악극이 출현한 1860년대 이후의 독일 음악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작곡가와 음악
볼프는 '피아노 반주에 의한 독창'이라는 독일의 낭만전통을 계승한 브람스 이후 최고의 리트 작곡가입니다. 가사를 매우 중요시 여겨 리트 제목에는 자신의 이름보다 시인의 이름을 먼저 적었습니다. 성악 성부는 낭송적이었고, 반주는 성악을 지배하지 않으면서 전체적인 지속성을 유지해주는 기법으로, 바그너 음악극에 영향을 받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말러는 보수적 성향이 강하고 대위법적인 음악을 추구한 작곡가로, 피아노와 성악의 결합인 독일 리트를 관현악 반주에 의한 예술가곡으로 탈바꿈한 계기를 만든 인물입니다. 이러한 '관현악적 연가곡'의 예로 <대지의 노래>가 있습니다. 이로써 교향곡과 리트는 상호 연관성을 지니게 되었는데 그 예로 교향곡 제1번은 연가곡 <방랑하는 젊은이의 노래>의 선율 동기가 등장하고, 교향곡 제2, 3, 4번은 <어린이의 신기한 뿔피리>, 제5, 6, 7번은 <죽은 아이에 붙이는 노래>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입니다. 또한, 말러의 교향곡들은 전형적인 후기 낭만주의 작품들로 길고 복잡한 형식, 표제음악의 성격, 많은 연주자들의 참여를 특징으로 하는데, 그 예로 제8번 내림마장조 곡이 있습니다. 이는 4관 편성과 합창의 방대한 규모 때문에 '천인 교향곡'이라 불립니다. 말러는 1900년대 이후에도 바흐의 대위법을 자주 사용했으며, 섬세한 실내악에서도 대규모 오케스트라의 힘을 효과적으로 끌어내 확대시킨 인물이라 볼 수 있습니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말러보다 환상적이고 진보적, 혁신적인데 '교향악적 환상곡'이라 불리는 표제적 관현악곡을 작곡했는데, <이탈리아로부터>는 이탈리아 여행의 경험을 묘사한 4악장 구성의 관현악곡입니다. 슈트라우스는 교향시와 오페라에 뛰어났는데 베를리오즈와 리스트를 모델로하여 급진적 낭만주의를 추구하였습니다. 특히 교향시에 몰두하여 총 4곡을 만들었고, 일반적 감정을 다룬 철학적 표제가 있는 <죽음과 정화>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구체적 사건을 다룬 서술적 표제가 있는 <돈키호테>,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돈 쥬앙>이 완벽한 교향시로서 평가되고 있는데, 예술성을 보다 강조하여 자신의 교향시를 '음시(tone poem)'이라 지칭하기도 했습니다. 아내가 소프라노 출신이어서 오페라 창작에도 관심이 많았으며, 라이트모티프와 불협화음을 사용한 <살로메>와 <엘렉트라>, 18세기 고전 양식으로 복귀한 <장미의 기사> 등이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부터 살펴보겠습니다.
728x90728x90'음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5-1. 근현대 20세기 민족주의 음악 (0) 2022.11.06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4-2. 낭만 후기 음악 (0) 2022.11.03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3-3. 낭만시대 기악음악, 작곡가와 음악 (0) 2022.11.01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3-2. 낭만시대 오페라 음악 (1) 2022.10.29 클래식 서양 음악의 역사 알아보기 3-1. 낭만시대 역사적 배경, 음악적 특징, 예술가곡 (0) 2022.10.29